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6 | |
7 | 8 | 9 | 10 | 11 | 12 | 13 |
14 | 15 | 16 | 17 | 18 | 19 | 20 |
21 | 22 | 23 | 24 | 25 | 26 | 27 |
28 | 29 | 30 |
- sanity
- 패배의신호
- 북스타그램
- 밀라논다
- 감정기복을줄이고더행복한삶을위한49가지지침서
- 더빠르게실패하기
- 힐링그잡채
- 백수린
- 호리에다카후미
- 마지막수업
- 보통의언어들
- 사는이유
- 장이나
- 자바스크립트set
- 코딩천재
- NextJS
- 타입스크립트
- 자바스크립트함수
- 장인서
- 책
- 영어공부
- 가벼운마음
- 독서
- 기분을태도로만들지않는49가지방법
- 보편의단어
- 역행자
- 동빈나
- 박여름
- 그릿
- 기분을태도로만들지않는49가지 방법
- Today
- Total
미미의 메모장
기분을 태도로 만들지 않는 49가지 방법 본문
관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'선택'이다. 그러나 성숙한 사람은 누구에게도 자신을 선택하라고 강요하지 않는다. 선택은 각자의 몫이며, 그 선택이 자신을 향하지 않더라도 억지로 잡으려 하지 않는다. 그저 자연스럽게 흘러가는대로 두는 것이다. 억지로 붙잡을수록 더 멀어지게 되는 것이 사람 마음이기에, 진정한 성숙은 이러한 선택의 자유를 존중하는 데서 온다.
살다보면 '당연히 이 사람은 나에게 이 정도는 해주겠지'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. 그러나 성숙함은 누구도 나에게 빚진 것이 없다는 것을 깨닫는 데서 시작된다. 그 누구도 내가 기대하는 만큼의 관심이나 사랑을 줄 의무가 없다. 오히려, 기대하지 않음으로써 오히려 더 큰 평화를 얻을 수 있다. 내가 기대하는 것이 당연하지 않다는 사실을 깨닫는 순간, 더이상 실망하거나 상처받지 않게 된다. 94p
감정기복은 피할 수 없는 삶의 일부다. 하지만 중요한 것은 감정을 어떻게 마주하고 다루느냐다. 우리는 감정의 파도 속에서 흔들릴 수 있다. 그러나 그 흔들림이 우리를 완전히 무너뜨릴 수는 없다. 오히려 이 감정의 기복 속에서 우리는 더 깊이 자신을 이해하고, 내면의 강인함을 발견하게 된다. 삶은 늘 잔잔한 바다일 수 없다. 때로는 거친 파도가 몰아치기도 하고, 예기치 않은 폭풍이 휘몰아치기도 한다. 그러나 그 순간을 견디고 나면, 우리는 더 단단한 사람이 되어 있다. 결국, 그 모든 감정의 흔적이 우리를 더 깊고 넓은 존재로 성장시키는 밑거름이 된다. 105p
모든 감정은 우리 삶의 일부이며, 그 감정들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일 때 우리는 더 진정한 나 자신을 만날 수 있다. 이제부터는 감정을 두려워하지 말자. 그것들이 그저 우리의 삶을 더 깊고 풍부하게 만들어주는 하나의 경험임을 기억하자. 그리고 그 감정들을 환영하고, 그 속에서 스스로를 더 깊이 이해하고 사랑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보자. 모든 감정은 우리에게 소중하다. 그 감정을 통해 우리는 더 나은 자신이 될 수 있다. 261p
힘든 순간들이 지나간 후에, 우리는 그 경험을 통해 더 강해지고, 더 깊이 있는 사람이 될 수 있다. 모든 경험은 우리를 더욱 성숙하게 만들어준다. 그러니 지금의 어려움 속에서도 스스로를 위로하고, 그 과정에서 나 자신을 더 사랑하고 이해해보자. 당신은 결코 혼자가 아니며, 이 순간도 결국 지나가게 될 것이다.271p
삶의 많은 부분이 관계에서 비롯되며, 그 관계속에서 우리가 느끼는 행복과 만족감은 우리 자신이 얼마나 주체적인 위치에 있느냐에 달려 있다. 그러나 그 주체성은 힘이나 권력에서 나오지 않는다. 오히려 상대방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공감과 지혜, 그리고 자연스러운 흐름 속에서 나오는 것이다. 그렇게 우리가 만들어가는 관계는 서로를 더욱 확장시키고, 진정한 의미의 존중과 사랑을 느끼게 할 것이다. 280p
'note > 독서📚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00세 철학자의 사랑수업 (2) | 2024.11.03 |
---|---|
왜 당신은 다른 사람을 위해 살고 있는가 (2) | 2024.10.06 |
행복할거야 이래도 되나 싶을 정도로 (0) | 2024.09.28 |
햇빛은 찬란하고 인생은 귀하니까요 (1) | 2024.09.14 |
보편의 단어 (0) | 2024.07.2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