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6 | |
7 | 8 | 9 | 10 | 11 | 12 | 13 |
14 | 15 | 16 | 17 | 18 | 19 | 20 |
21 | 22 | 23 | 24 | 25 | 26 | 27 |
28 | 29 | 30 |
- sanity
- 영어공부
- 호리에다카후미
- 장이나
- 더빠르게실패하기
- 마지막수업
- 그릿
- NextJS
- 타입스크립트
- 책
- 힐링그잡채
- 패배의신호
- 동빈나
- 코딩천재
- 보편의단어
- 자바스크립트함수
- 백수린
- 장인서
- 북스타그램
- 가벼운마음
- 기분을태도로만들지않는49가지방법
- 독서
- 기분을태도로만들지않는49가지 방법
- 감정기복을줄이고더행복한삶을위한49가지지침서
- 보통의언어들
- 사는이유
- 박여름
- 자바스크립트set
- 역행자
- 밀라논다
- Today
- Total
목록memo (33)
미미의 메모장
함수는 객체다. 즉 함수를 다른 함수에 인자로 전달할 수 있다. function writeCode(callback) { callback(); //추후 실행, 나중에 부른다 콜~~백 } function introduceBugs() { //버그를 만든다. } writeCode(introduceBugs); //introduceBugs에 괄호를 덧붙이지 않았다. introduceBugs()가 writeCode()의 인자로 괄호 없이 전달된 사실을 눈여겨 보자. 괄호를 붙이면 함수가 실행되는데 이 경우에는 함수의 참조만 전달하고 실행은 추후 적절한 시점에 writeCode()가 해줄 것이기 때문에 괄호를 덧붙이지 않았다. 이 코드는 간단하고 대부분의 경우 충분히 훌륭하게 동작한다. 그러나 콜백이 일회성의 익명 함..
모든 변수는 함수 본문 어느 부분에서 선언 되더라도 내부적으로 함수의 맨 윗부분으로 끌어올려진다. 함수 또한 결국 변수에 할당되는 객체이기 때문에 동일한 방식이 적용된다. 함수 선언문을 사용하면 변수 선언 뿐 아니라 함수 정의 자체도 호이스팅되기 때문에 자칫 오류를 만들어내기 쉽다. //안티패턴 //전역 함수 function foo() { alert('global foo;); } function bar() { alert('global bar'); } function hoistME() { console.log(typeof foo); // "function" console.log(typeof bar); // "undefined" foo(); // "local foo" bar(); // TypeError: b..
1. 함수 표현식 //기명 함수 표현식 var add = function add(a, b){ return a + b; }; //무명 함수 표현식(함수 표현식 = 익명 함수) var add = function (a,b) { return a + b; }; 기명 함수 표현식에서 두 번째 add를 생략하고 무명 함수 표현식으로 끝내도, 함수의 정의나 뒤이은 함수의 호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. 유일한 차이점은 함수 객체의 name 프로퍼티가 빈 문자열이 된다는 것이다. 함수 선언문과 기명 함수 표현식을 사용하면 name프로퍼티가 문자열로 정의된다. 반면 무명 함수 표현식의 name 프로퍼티 값은 경우에 파이어 폭스와 웹킷에서는 빈 문자열로 정의된다. 2. 함수 선언문 //함수 선언문 function foo() ..